호텔픽업 08:00 |
전쟁기념관 09:00 |
임진각 12:00 |
중식 12:30 |
통일대교여권 및 |
DMZ영상관 및 전시관 13:30 |
제3터널 |
도라전망대 |
도라산역 |
통일마을경유 15:40 |
인삼전시장 자수정 센터 17:00 |
해산 |
* 각 일정을 클릭하시면 해당장소의 사진과 안내를 보실 수 있습니다.
호텔픽업 08:00 |
임진각 |
통일대교 여권 및 신분증검사 |
제3터널 |
도라전망대 |
도라산역 |
중식 12:10 |
임진각 13:00 |
CAMP BONAFAS (신분증 검사) 13:30 |
JVC (방문자센터) / 안전규정 서약 및 브리핑 |
차량이동 (판문점/JSA) |
군사정전 회의실 |
제3초소 15:30 |
도끼만행사건 현장 |
돌아오지않는 다리 16:00 |
인삼전시장 자수정 센터 |
해산 명동 / 시청 18:00 |
* 각 일정을 클릭하시면 해당장소의 사진과 안내를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중국, 러시아 강대국들에 둘러싸인 고요한 아침의 나라 대한민국
이웃나라 일본은 대륙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욕망으로 임진왜란부터 계속 된 야망.
그 야망의 첫 타겟은 언제나 한반도와 조선인
강요에 의한 일본어를 배워야 했고, 성과 이름도 바꾸고 탄광으로 징용.
2차 세계대전엔 일본인의 탈을 쓰고 일본 제국주의 욕망에 목숨을 바쳐야 했던 암울한시기
[얄타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 Ялта) 우크라이나 남부 크림 반도 휴양도시]
처칠, 루즈벨트, 스탈린
한반도를 분할케 한 회담 (미 · 소 · 영)
히로시마와 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
태평양 전쟁 종료
미국, 소련 양국은 태평양전쟁 참전국 승전자 자격으로 일본군의 무장해제를 위해
38선을 일시적 군사분계선으로 규정함.
한반도는 군사적인 편의에 따라 38선을 경계로 미·소 양군에 의하여 분할, 점령
38도선 이북은 소련의 비 협조로 반쪽 선거
미·소간의 대립과 이데올로기 갈등, 양극화
이념갈등으로 38도선을 경계로 한
각각의 정부수립
1949. 6월 군사고문단만 남긴 채 미군철수
남침계획을 위한 모략 /
김일성-스탈린 6.25 공모 비밀암호전문 확인
일명 에치슨(Acheson line , 미 국무부 장관) 라인이라 불리는 극동방위선
북한은 미국이 남한을 포기한다는 생각을 갖게 함
6.25사변을 직접적으로 일으키게 한 원인으로 보는 시각도 있음
누구도 예상치 못했던 한국전쟁 발발 명백한 불법 남침
한강철교 폭파
최후의 보루를 지켜라!!
전투병 파병 17개국
의료지원국 4개국
수세에 몰린 상황을 역전시키기 위한 최후의 수단
밀물차이를 극복한 맥아더 UN군 총사령관
압록강 까지 진격
흥남철수 작전
1951. 7.10 : 휴전을 위한 첫 회담
38선을 넘나들며 뺏고 뺏는 고지전
1953년 7월 27일
24개월 17일 : 첫 휴전회담 후 마지막 결정까지 걸린 기간
990,000 : 양측 민간인 사상자
1,600,000 : 양측 군인 사망자
3 : 38도선을 지나 뺏고 뺏긴 횟수
341,628 : UN 참전군인 수
57,933 : UN군 사망자수 (전쟁기념관 희생자 이름)
100,000 : 전쟁고아
119위 : 경제규모 120개국 중
목적 : 박정희 전 대통령 암살시도
31명 : 침투인원수
29명: 사살인원수
1명 : 북으로 도주 (00, 07년 공식방한)
1명 : 생포 (김신조)
장소 : 장충동 국립극장
문세광 : 조총련계 일본인
피해 : 영부인(육영수) 암살
Paul Bunyan 작전 (미루나무제거 작전)
DEFCON 3 (전투준비태세)
JSA가 남과 북으로 나뉜 계기가 됨
2 : 희생자수
52Km : 서울에서의 거리
30,000 : 1시간 내 이동가능한 무장 병력수
73m : 땅굴 발견위치 (아파트 25층 높이와 같은 깊이)
2m X 2m : 땅굴의 크기 (가로 X 세로)
1,635m : 총 굴착길이
전두환 전 대통령을 노린 테러
부총리를 비롯한 각료와 수행원 17명 사망
이륙 : IRAQ 바그다드 국제공항
스탑오버 : UAE 아부다비 국제공항
행선지 : 김포 국제공항
교신두절 : 인도양 상공
북한 공작원 소행의 테러, 미얀마 근해 상공에서 폭발
115 : 희생자수
26 : 상어급 잠수함에 탑승했던 인원수
13 : 사살 남파 공작원 수
11명 : 자살 / 1명 : 생포 (전향, 해군 군무원 근무)
1명 : 행방불명 (북으로 탈출 한 것으로 추정됨)
북 무장병력 12명이 DMZ내에 있는 통일촌 주민 2명 납치
수일 후 남으로 주민 송환
북한의 잠수함 어뢰 공격으로 침몰 (북측은 부인)
백령도 해상 : 침몰위치
104 : 승조 인원수
40 : 순직 군인 수
6 : 실종 승조 인원수
2명 : 해병 전사자
2명 : 민간인 사망
1953년 휴전협정이래 최초로 대한민국 영토를 직접 타격,
민간인이 사망
미국 Jimmy Carter 전 대통령
(1994)
미국 Hillary Rodham Clinton 전 국무부 장관
(2010. 7. 21)
미국 Bill Clinton 전 대통령
(1993. 7. 11)
미국 George W. Bush 전 대통령
(2002. 2. 20)
호주 Julia Gillard 전 총리
(2011. 4. 24)
미국 Barack Obama 대통령
(2012. 3. 25 )
미국 Chuck Hagel 전 국방부 장관
(2013. 12 )
통일 및 남북대화·교류·협력·인도지원 정책의 수립
북한정세 분석, 통일교육·홍보
1985. 9.20 ~ 23 : 첫 상봉
장소 : 서울과 평양
지속적 진행
21개국 (전투 + 의료지원군)
부산 UN 기념공원
그리스, 시드니 하계올림픽
토리노 동계올림픽
Team KOREA로 여자복식 우승
Time bomb, 삐라, 초코파이, 소형 라디오, 화폐, 바이블
두만강, 압록강 통해 탈북
태국에서의 남한행
햇볕정책
노벨 평화상 (2000)
금강산 관광, 개성공단
국방의무 (21개월)
예비군
이중국적자들의 국방의무
연예인들의 적극적 국방의무
재벌가 자녀들의 노블레스 오블리주
자유로운 육로 관광
인구 8,000만 G7 국가로의 도약
대륙횡단 / 물류비 감소
유럽과 아시아를 잇는 시발점
해저터널 (도쿄역 발 -> 부산역 -> 서울역 -> 평양역 -> 베이징역 -> 유럽행 기차)